본문 바로가기

저장고

[암 유전학] 1. 암세포의 특징

▶ 통제되지 않은 세포의 성장/분열

1. Autocrine stimulation:

외부에서 growth factor나 호르몬이 보내는 신호에 따라 세포가 성장/분열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세포가 자기 자신에게 성장/분열 신호를 보냄

 

2. Contact inhibition이 없음:

대부분의 일반 세포는 monolayer를 이루면 contact inhibition에 의해 분열을 멈춘다.

그러나 암세포는 contact inhibition이 없어서 여러 층을 만들면서 계속 분열한다.

 

3. Progammed cell death가 없음:

세포의 유전체가 큰 손상을 입으면 자살해버린다. 이를 apoptosis라고 한다.

암세포는 apoptosis를 하지 않아서, 손상된 유전체를 가지고 계속 분열하고, 손상이 축적된다.


많은 암세포는 불멸이다.

telomerase가 작동하여 telomere의 길이가 줄어들지 않아서


대부분의 암세포는 불안정한 유전체를 갖고 있다.

1. DNA  repair enzyme이 고장나서, 돌연변이가 많이 생긴다.

2. 핵형이 비정상이다

  • 염색체 수가 비정상이다(Aneuploidies/Polyploidies):
    세포분열 중 상동염색체 분리 과정에 문제가 생겼기 때문이다.
    중심체(centrosome), 동원체(kinetochores), 방추사(spindle) 와 같은 것들이 제기능을 못해서.
  • 많은 chromosomal rearrangement:
    - DNA 복제 과정에 문제가 많거나
    - DNA 수리를 잘 못하거나
    - Double strand breakage가 많아지면

종양과 신체의 상호작용

  • 혈관 형성(angiogenesis)
    - 암세포는 끊임 없이 성장하기 때문에, 영양소가 많이 필요하다. 종양에 혈관을 새로 형성해서 영양소와 산소 공급을 늘린다.
  • 전이(metastasis)
    - 암세포는 혈류를 타고 신체의 다른 부위로 이동해서 종양을 만들 수 있다. 혈관 형성에 의해 새로 만들어진 혈관이 전이 과정을 촉진하기도 한다.
  • 면역 회피(evading immune surveillance)
    - 인간의 면역계는 암세포를 인식하고 공격해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암세포는 면역계를 회피하는 능력을 갖는다.